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눈 폭탄 뒤로 몰려온 강추위의 원인과 이후 전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YTN 기상·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눈 폭탄이 지나고 나니 오늘 아침에는 정말 추웠습니다. 기온이 얼마나 떨어진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아침 서울 기온이 영하 3.4도로 가장 추운 아침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아침보다 3도나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찬 바람에 체감온도는 영하 5.6도까지 떨어져서 몸으로 느껴지는 추위는 더 심했을 텐데요. <br /> <br />경기 북부인 파주는 영하 7도, 강원도 대관령은 영하 11도까지 기온이 내려갔고요, 강원도 횡성 안흥면은 영하 16.3도까지 곤두박질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최저 기온을 기록한 곳이 많았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강원도 양양 설악산에는 체감온도가 무려 영하 24.9도까지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눈이 그치고 이렇게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진 이유가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가장 큰 이유는, 오늘 아침 하늘 보셨나요? <br /> <br />어제와 다르게 굉장히 맑았습니다. <br /> <br />구름이 사라지면서 밤사이 지면에서 열이 빠져나가는 '복사냉각' 효과가 커졌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곳곳에 녹지 않고 쌓여있는 눈도 한몫했습니다. <br /> <br />눈이 쌓여있으면 눈의 수분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면서 열을 뺏기 때문에 온도가 더 떨어지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손에 알코올을 묻히면 이게 날아가면서 순간적으로 시원해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출근길에 보니까 눈이 녹지 않고 쌓여있는 곳들이 많더라고요. <br /> <br />이렇게 쌓인 눈,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맞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눈이 무겁고 습기가 많은 '습설'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습설과 반대인 '건설'은 스키장에 있는 눈을 생각하시면 되는데, <br /> <br />건설은 수분이 없어서 기온이 낮아지더라도 눈 알갱이, 결정 자체로 뽀득뽀득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'습설'은 얼어버리면 얼음이 되면서 더 딱딱해지는데요. <br /> <br />비유하자면 '냉동만두'를 생각하시면 됩니다. <br /> <br />냉동만두를 바로 냉동실에 넣지 않고 늦게 넣으면 만두끼리 붙어서 떼기 어렵게 덩어리가 되는 경험, 한 번쯤 있으실 텐데요, <br /> <br />이 습설도 잠깐 녹았다가 밤사이 기온이 낮아지면서 얼면 단단한 얼음덩어리로 굳어버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빙판길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이 남아있는 곳에서는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. <br />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112916582203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